본문 바로가기

Exclamation(!)

1인 미디어 방송 시대 크리에이터를 꿈꾸고 있는가?

1인 미디어 방송 시대 클리에이터를 꿈꾸고 있는가? 


 인터넷과 IT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스스로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시대에 살게 되었다. 
 1인 미디어의 시작은 싸이월드가 아닌가 싶다. 싸이월드가 내리막을 걸으면서 새롭게 블로그 등장, 블로그를 통해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이나 자신만의 노하우 그리고 정보와 지식 등을 일반 대중들에게 전달하는 정도, 그리고 어필하는 정도로 시작했다. 그러면서 다양한 미디어 채널이 생겨나면서 1인 미디어 시대가 도드라지기 시작했다. 초기 팟캐스트의 등장은 신선함과 새롭고 차별화된 정보와 지식들을 1인 방송을 통해 전달되었고, 새로운 소통의 공간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그리고 유튜브와 아프리카TV는 1인 미디어 방송의 시작을 알린 대표 플랫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1인 미디어 방송의 성장으로 유튜브나 페이스북 라이브, 아프리카TV, 판도라TV 등에서 1인 방송 콘텐츠를 생산 하거나 생방송을 통해 어마어마한 매출을 올리고 있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이런 콘텐츠 생산은 전문적인 사람들이나 기업에서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닌 일반인들이 스스로 자체 생산한 콘텐츠를 만들어 소통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1인 미디어 시대로 빠르게 접어 들었다. 
 이제는 1인 크리에이터를 꿈꾸는 사람들이 점점 많이 늘어나고 있으며, 1인 미디어 방송이 대세 일 정도로 많은 콘텐츠들이 다양한 채널을 통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또한 이러한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자신의 플랫폼으로 모셔오기 위한 보이지 않는 전쟁은 진행 중이다. 그리고 지금도 그 전쟁에 새로운 플랫폼들을 들고 참가하고 있는 중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러한 흐름에 전통 미디어 시장들도 1인 크리에이터와 MCN 사업자들과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모색을 시도하고 있다. MBC의 경우는 1인 미디어 포멧을 따와 마이리틀텔레비전(마리텔)을 방송하고 있기도 하다.

1. 1인 미디어란 ?

 1인 미디어란 개인이 다양한 콘텐츠를 직접 생산하고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이며,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말한다. 미디어 환경 속에서 개인들은 송신자이자 수신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며, 미디어 채널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되었다(DMC, 2016). 

[이미지 출처 : http://cft.or.kr/sub/?num=964]

2. 1인 미디어 방송이 확산된 배경은 ?

 페이팔 직원이던 채드 헐리와 스티브 첸이 파티 영상을 이메일로 주고 받는 것보다 웹상에서 바로 공유하는 서비스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그것이 바로 유튜브 서비스 시작(2005년 2월)이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프리카TV가 2006년 3월에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1인 인터넷 방송이 국내에서 크게 성장한 계기가 되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미디어를 쉽게 생산하고 송출할 수 있는 미디어 플랫폼들의 등장으로 1인 미디어 시대를 열 수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의 발달이 1인 미디어 시대를 지금처럼 빨리 그리고 많이 확산시킬 수 있었던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 스마트폰의 기술발전과 함께 대중들에게 보급되면서 누구나 쉽게 사용하고 쉽고 편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된 것이 된 것이 또 하나의 이유가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스마트폰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의 등장 그리고 바쁜 일상속에서 짧은 시간 다양하고 색다른 콘텐츠를 볼 수 있게 된 점과 글로벌시대의 문화의 다양성과 개인화된 취향의 다양성 등의 문화적 다변화가 한 몫을 했다고 생각한다. 또한 1인 가구의 증가도 1인 미디어 시장을 더욱 빠르게 성장 시킨 요인이라 본다.

 이러한 사회적, 문화적인 변화 속에서 1인 크리에이터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동영상의 제작 지원과 배급을 담당하는 새로운 산업 분야가 등장한 것도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다. 바로 다중채널네트워크(Multi Channel Networks) 산업인데 다양한 채널에서 수익을 창출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MCN 사업자는 창작자의 방송 제작을 지원하고 광고를 수주해 수익을 배분하는 형식으로 운영하는데, 연예인 기획사와 유사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산업 분야까지 생겨나면서 점점 산업화되어가고 있으며, 시장 규모 또한 급속하게 커져가고 있는 중이다. 

[이미지 출처 : 방송통신진흥본부]


3. 1인 미디어 방송 현황과 시장 규모는 ?

 그동안의 동영상 콘텐츠가 녹화, 편집된 방송을 업로드한 뒤 스트리밍하는 방식이었다면, 이제 생방송으로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초기에는 스포츠나 게임 중계를 같이 보면서 BJ(Broadcasting jackey)의 해설이나 멘트를 즐기는 방송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먹방, 쿡방, 영어 강의 ,개그 등으로 장르가 다양하게 스펙트럼이 넓어지고 있다. 

 DMC미디어의 1인 미디어 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미국 소비자들이 모바일로 동영상을 시청한 시간은 하루 평균 29분으로 데스크톱PC(25분)보다 더 많은 시간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사용했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2015년 국내 모바일 동영상 이용자 수는 약 2800만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아프리카TV의 경우 2015년 매출 28억원을 달성하기도 했다.

[이미지 출처 : it 조선]

 또한 시장조사업체 제니스옵티미디어에 따르면, MCN 산업의 수익 모델인 동영상 광고의 2016년 시장 규모는 162억달러(약 19조원)로 2015년보다 29%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으다. 그리고 2017년에는 인터넷 동영상 시청자수가 7억 3200만명으로 늘고, 규모도 230억달러(27조 2780억원)를 넘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2016년 11월 MCN 기업 머시니마(Machinima)가 워너 브라더스에 약 1억 달러 이상으로 예상되는 금액으로 인수되었고, 그 에 앞서 2013년에는 미국애니메이션 제작사인 드림웍스가 MCN기업 어섬니스TV를 3300만달러(391억3800만원)에 인수한 것과 2014년에 월트 디즈니컴퍼니가 메이커스스튜디오를 9억 5000만달러(1조 1267억원)에 인수한 것을 보았을 때 MCN산업의 전망은 매우 긍정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미지 출처 : 미디어DMC]

<글로벌 MCN 사업현황>

[이미지 출처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한국전파진흥협회에 따르면 국내 MCN사업자(2016년 기준)는 100개가 넘으며, 이 중 유튜브가 인증한 곳은 아프리카TV 등 5개 내외라고 한다. 국내 MCN시장이 성숙되면서 동영상 플랫폼만 제공했던 아프리카TV도 2014년부터 MCN사업을 본격 추진했으며, 이외에도 판도라TV, KBS 예띠TV, 네이버 V앱 등도 뒤늦게 진입하였다.

 국내 MCN 시장 규모는 2016년 기준으로 대략 2,000억~ 3,000억 원으로 추산되고, 국내 MCN 사업자 중 세계 100위 안에 드는 기업도 CJ E&M(31위)과 트레져헌터(96위) 두 곳 뿐이다. 그리고 2016년 3월 국내 시장에서도 MCN협회가 정식으로 출범해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고 있다.

[이미지 출처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4. 1인 미디어 방송의 문제는 ?

 국내 1인 미디어 산업은 저작권 문제 및 심의 규정이 없다는 점들이 사회 문제 이슈로 들어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아프리카TV 등에서 많은 BJ들이 더 많은 수익을 내고자 과도한 노출이나 자극적인 설정을 하는 경우가 잦아 이에 대한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또한 방송을 진행하는 다수의 사람들이 미디어의 역할이나 기능에 대한 깊은 고찰 없이 오락적 기능에 치우쳐 여러 가지 문제들을 야기시킬 우려가 있다는 점도 1인 미디어 산업의 성장에 있어 해결해야 하는 문제로 남아있다.
 이러한 문제는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닌다. 미국의 경우에도 선정성과 폭력성이 문제가 되고 있기는 마찬가지이다. 과거 미국 Justin.TV에서 신경안정제를 과다복용해 자살하는 과정을 실시가능로 방송되어 놀란이 된 바도 있다.

5. 1인 미디어 방송에 대한 미래 전망은 ?

[이미지 출처 : 미디어DMC]

 콘텐츠 진흥원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 동영상 시장 규모 전망치를 2021년 212억 달러로 연평균 14.4%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리고 전문가들은 MCN 산업이 향후 5년간 시장 규모가 10배로 성장 할 것으로 예측하기도 하였다.
 또한 기존의 기업뿐만 아니라 커머스 기업 모두 이제 자사 페이스북, 유튜브 채널 등을 운영하면서 미디어 기업으로 탈바꿈을 시도하고 있으며, 영상 콘텐츠 공급에 대한 필요성은 매우 높게 갖고 있기 때문에 기업 역시 자체 채널을 위한 콘텐츠 제작이 화두가 될 것이라 예상하기도 한다. 2016년 DMC미디어 보고서에서 조사한 1인 미디어에 대한 인지도 결과를 보면 앞으로의 1인 미디어 방송에 대한 전망은 매우 긍정적이며, 급속한 성장을 예측할 수 있지 않을까?


6. 1인 미디어 성공 사례 ?

[이미지 출처 : 미디어DMC]

 BJ(broadcasting jackey)중 대도서관, 씬님, 캐리, 양띵, 영국남자, 쿠쿠르트, 데이브 등 많은 파워 크리에이터들이 있다. 이러한 1인 크리에이터들의 영상을 직접 보고 느껴보시면 왜? 인기가 높은지 실감하실 듯 하다.

 1) 대도서관
 2) 씬님
3) 캐리
4) 양띵
5) 영국남자

[참고 자료]
1] https://m.digieco.co.kr/M/report/m_reportdetailview.jsp?board_id=issue_trend&board_seq=11311&category=A
2] http://cft.or.kr/sub/?num=964
3] http://www.kocca.kr/k_content/vol14/vol14_03.pdf
4] http://www.venturesquare.net/729957 
5] http://portal.kocca.kr/portal/bbs/view/B0000204/1823388.do?searchCnd=&searchWrd=&cateTp1=&cateTp2=&useAt=&menuNo=200250&categorys=4&subcate=61&cateCode=0&type=&instNo=0&questionTp=&uf_Setting=&recovery=&pageIndex=1#
7] http://www.hankookilbo.com/v/52d531b3e9864088a7f766e2b54fd16b
8] https://brunch.co.kr/@zamong/20
9] http://it.chosun.com/news/article.html?no=2828074
10] http://news.mk.co.kr/newsReadPrint.php?year=2016&no=67496
11] http://www.kobiz.or.kr/jsp/news/news.jsp?
12] chkLogin=false&seq=1666&mode=VIEW&pageRowSize=5&boardType=news&blbdComCd=601001
13] https://spri.kr/posts/view/16154?code=inderstry_tr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