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xclamation(!)

배달앱 시장에 네이버, 카카오, 우버까지 진출, 배달앱의 전망은 어떠한가? 배달앱 시장에 네이버, 카카오, 우버까지 진출, 배달앱의 전망은 어떠한가? 1. 배달 앱 이란 ? 배달앱은 배달이 가능한 포장음식을 소비자가 온라인으로 인터넷을 통해 주문할 수 있게 도와주는 스마트 어플이라 할 수 있다. 기존에는 전단지나 광고를 통해 소비자가 직접 배달음식점에 전화를 걸어 주문을 했다면, 이제는 스마트 어플을 통해 전화 없이도 인터넷을 통해 배달음식을 주문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이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메뉴와 음식 리뷰 등을 통해 소비자가 음식점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도 있다. 음식점 주인들은 배달앱에 등록을 하거나 광고를 올릴 때, 등록료나 광고료를 지불하게 된다. 또한 어플 사용자들이 음식점에 배달 주문을 할 때 수수료를 지불하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다. 대표적인 .. 더보기
1인 미디어 방송 시대 크리에이터를 꿈꾸고 있는가? 1인 미디어 방송 시대 클리에이터를 꿈꾸고 있는가? 인터넷과 IT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스스로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시대에 살게 되었다. 1인 미디어의 시작은 싸이월드가 아닌가 싶다. 싸이월드가 내리막을 걸으면서 새롭게 블로그 등장, 블로그를 통해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이나 자신만의 노하우 그리고 정보와 지식 등을 일반 대중들에게 전달하는 정도, 그리고 어필하는 정도로 시작했다. 그러면서 다양한 미디어 채널이 생겨나면서 1인 미디어 시대가 도드라지기 시작했다. 초기 팟캐스트의 등장은 신선함과 새롭고 차별화된 정보와 지식들을 1인 방송을 통해 전달되었고, 새로운 소통의 공간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그리고 유튜브와 아프리카TV는 1인 미디어 방송의 시작을 알린 대표 플랫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1인 미.. 더보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보안 문제와 그에 따르는 보안 산업 현황은 어떠한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보안 문제와 보안 산업 현황은 어떠한가? 4차 산업혁명이 현재 진행형인 것인지, 미래형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관련 자료를 찾아 본적이 있다. 물론 현재 진행형이였다. 여기서 다시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얘기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삶의 방식은 변화할 것이며, 보다 진보된 혜택 속에 살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있다. 반대로 인공지능의 발달로 인간의 일자리가 사라지는 부정적인 미래를 우려도 함께 알 수 있었다. 거기에 더해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범죄와 사고들에 대한 문제에 대해 우려하기도 했다.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개인 정보 보안에 대한 중요성도 커져가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런 부분에 걱정하고 있으며,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바로 여기서는 정보 .. 더보기
간편식 시장의 성장이 그냥 즐거운 일만은 아니다? 간편식 시장의 성장이 그냥 즐거운 일만은 아니다? '편의점 샐러드·도시락 폭풍성장...1조 7천억 규모로'라는 뉴스기사를 보고, 간편식 시장의 성장이 더욱 매섭게 올라 갈 것이라 예상되어 관련된 글을 써야겠다 생각을 했다. 그리고 일주일이 되서야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다. 여기서는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간편식 시장 성장이 마냥 즐거운 것인가?를 생각해 보려고 한다. 그렇다고 간편식 시장 성장에 행복해 하는 분들에게 찬물을 끼얹기 위해 쓰는 글은 더더욱 아니다. 함께 사는 세상에 시소처럼 간편식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다른 골목상권의 요식업 시장의 성장이 둔화되고, 점점 폐업하는 식당들이 늘고 있다. 어떻게 골목상권 요식업들의 성장 둔화와 폐업이 간편식 시장의 성장 때문인가?라는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그렇.. 더보기
커피빈 그만의 색을 가지기 위한 전략은 무엇인가? 커피빈 그만의 색을 가지가 위한 전략은 무엇인가? 커피전문점 시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커피빈에 대해 마케팅 전략을 제시해 본다. 우선 커피빈이 현재와 같이 커피전문점 시장에서 앞서가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는 원인에 대해 알아보자.[사진 출처 : 커피빈코리아 사이트] 1] 그 원인을 분석해 보면 1. 커피 가격에 맞는 만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점이다. 가격은 스타벅스 보다 비싸지만 그 만큼의 만족(서비스, 경험, 가치)은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커피빈만의 특별함이 없다는 것이다. 또한 소비자 만족도에서도 나왔듯이 비싼 커피값에 비해 만족감이 낮다는 평가다(2015년 소비자만족도 총 7개업체 중 3위, 가격은 1위). 2. 특색 없는 커피빈 초창기 세련된 이미지였던 커피빈이 그 당시 그대로 변.. 더보기
4차 산업혁명 어디까지 왔나? 4차 산업혁명 어디까지 왔나?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자율운전 자동차,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3D 프린터, 로봇, 우주여행, 비행택시 등 위에 나열한 것들은 현재 실현되어 제품으로 출시되었거나, 실생활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개발 중에 있어 멀지 않아 실생활에 사용하거나 활용될 기술들이다. 이러한 기술 및 제품들이 점점 우리 삶 가까운 곳에서 실현되고 있으며, 다양한 대중매체를 통해 접하고 있다. 그러면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들이 전해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시작되었다'라고 하는 기사와 아직은 아니지만 곧 다가올 미래라며 준비해야 한다는 내용들도 있다. 그럼 2017년 현재 4차 산업혁명은 진행 중인 것인가?, 아니면 앞으로 다가올 미래인 것인가? 4차 .. 더보기
2017년 사물인터넷 시장에 대한 전망을 어떻게 보고 있나? 2017년 사물인터넷 시장에 대한 전망을 어떻게 보고 있나? 1. 머리말 하루 전 기사에서 전세계 사물인터넷 기기가 올해 84억대에 이를 전망이라는 내용을 보게되었다. 그때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가 얼마나 되는 지 어디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지에 대해 알아보고 싶어졌다. 또한, 미래 성장 산업의 하나가 될 것이라는 생각, 그리고 멀지 않은 미래에 쉽고 편하게 사용할 기술이 될 것이라는 생각에 사물인터넷에 대해 알아보고 2017년 그리고 좀 더 앞선 미래에 사물인터넷 시장을 어떻게 전망하고 있는 지도 알아보고자 한다. [이미지 출처 : 삼성자산운용 ABOUT 경제]2.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이란 무엇인가? 1> 사물인터넷 정의 우선 사물인터넷이 무엇인지 알아보면, 위키백과에.. 더보기
제프 이멜트 회장의 GE 성장 프로세스 핵심요소 6가지 -데이비드 매기가 쓴 '제프 이멜트 GE WAY' 책에서- [사진 출처 : slideshare, 위즈덤하우스]제프 이멜트의 GE 성장 프로세스 핵심요소 6가지1. 기술(Technology) GE는 그간 기술과 혁신에 힘을 기울여왔으나 새 세기가 도래하면서 그 중요성이 일부 희석되고 있음을 발견했다. 유기적 성장의 필요성에 따라 이멜트는 연구 개발에 관심과 재원을 재차 집중시켰다.2. 탁월한 영업력(Marketing) '하나의 GE'라는 말은 회사 브랜드 가치가 커지도록 글로벌 영업력과 마케팅 능력을 서로 조직적으로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이멜트는 GE가 생산성을 뛰어나지만 마케팅 능력은 그다지 뛰어나지 못하다는 것을 깨닫고 회사 명성에 맞는 마케팅 능력을 갖추게 하였다.3. 고객 중심(Customer) .. 더보기
옴니 채널 마케팅(Omni channel Marketing)에 대해 알고 계십니까? 옴니 채널? 베인&컴퍼니의 다렐 럭비(Darrel Rigby)는 '온라인 쇼핑의 풍부한 정보를 물리적 스토어의 장점 안에 녹여 통합된 고객 경험을 제공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옴니 채널의 선구자로 꼽히는 윌리엄소노마(William Sonoma)의 경우 옴니채널 전략을 '인터넷, 모바일, 카다로그, 오프라인매장 등 여러 채널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고객 경험을 극대화해 판매를 촉진하는 전략으로 말하고 있다.옴니채널 마케팅(Omni-Channel Marketing)?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마케팅의 탄생 COD(Communication On Demand)]라는 책(저 도준웅)에서 '고객은 검색과 웹사이트와 같은 온라인 채널뿐만 아니라 콜센터, 매장, 창구 등의 오프라인 채널까지 넘나들며 여러가지 정보를.. 더보기
커피빈코리아 그만의 색을 가지고 있는가? Coffee bean marketing strategy proposal "커피빈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남성 문화의 색을 입히다." Summary한국의 커피 소비는 인구비율에 비해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2015년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이 484잔으로 보고되고 있다. 현재는 더 많은 커피를 마시고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전체 커피시장은 성장하고 있으며, 그 중 커피전문점 시장은 2016년 4조원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런 성장세의 커피전문점 시장에서 커피빈 코리아(이하 커피빈)의 약세가 눈에 띄었다. 스타벅스와 어깨를 나란히 했으며, 커피맛에서는 더 좋은 평가를 받았던 브랜드였기에 또한, 커피빈의 분위기와 커피맛에 반했던 적이 있었던 나이기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커피 시장의 현 상황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