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빈 그만의 색을 가지가 위한 전략은 무엇인가?
커피전문점 시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커피빈에 대해 마케팅 전략을 제시해 본다. 우선 커피빈이 현재와 같이 커피전문점 시장에서 앞서가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는 원인에 대해 알아보자.
[사진 출처 : 커피빈코리아 사이트]
1] 그 원인을 분석해 보면
1. 커피 가격에 맞는 만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점이다.
가격은 스타벅스 보다 비싸지만 그 만큼의 만족(서비스, 경험, 가치)은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커피빈만의 특별함이 없다는 것이다. 또한 소비자 만족도에서도 나왔듯이 비싼 커피값에 비해 만족감이 낮다는 평가다(2015년 소비자만족도 총 7개업체 중 3위, 가격은 1위).
2. 특색 없는 커피빈
초창기 세련된 이미지였던 커피빈이 그 당시 그대로 변화 없는 매장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으며, 새롭게 내놓은 메뉴들이 경쟁사와 대비하여 특별하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브랜드에 대한 스토리텔링이 부재하고, 스타벅스와 같은 자체 스토리가 부재한 이유로 그에 따른 커피빈에서 문화와 가치를 경험하지 못하는 듯 하다.
3. 커피 외 차별화된 부가서비스 부재
커피빈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모션 쿠폰이나 멤버쉽 관리 운영이 스타벅스와 비슷하며, 커비핀 자체 브랜드 특색이 보여지지 않는다. 그리고 머그, 텀블러 등 차별적인 캐릭터와 디자인 상품이 많이 부족하고 거의 없는 수준이다. 또한 이슈가 될 수 있는 지속적인 이벤트나 프로모션 진행이 보이지 않는다.
[그래프 출처 : naver trend]
2] 그럼 이런 상황에서 현재 기회요인은 무엇일까?
1. 남성 소비 증가
30~60대 남성들의 커피전문점 커피 구매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회식자리가 1차 술집에서 2차 또는 3차는 커피전문점으로 이동하는 문화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아직 남성을 대표하는 문화, 가치 중심의 커피전문점 브랜드는 존재하지 않고, 남성들이 술집 대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문화공간 등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틈새 시장을 공략해 보자.
2. 프리미엄 및 고가 커피 소비는 증가
가격이 비싸다는 스타벅스 커피의 시장 장악력은 계속되고 있으며, 프리미엄 커피에 대한 소비도 증가 하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추출 방식의 커피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소비자 가치를 만족 시켜주는 상품에 대해서는 고가의 사치 상품들이라도 소비하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커피 문화에 대한 소비 가치가 맛보다도 문화를 즐기고, 자기 자신을 표출할 수 있으며, 자기 만족 우선으로 변화하고 있다.
3. 디지털 시대 새로운 트렌드 물결
한국은 특히 IT 강국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IT 기술이 발전하였으며, 관련 기술 상품들이 실생활에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미 스타벅스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이처럼 IT 기술 기반을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전략 컨셉을 세워 봤다.
3] 세련된 남성 문화를 전략 컨셉으로
4] 서브 컨셉에 따른 마케팅 전략은 ?
마케팅스타일리스트 홈페이지 marketingstylist.modoo.at
'Excla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보안 문제와 그에 따르는 보안 산업 현황은 어떠한가? (0) | 2017.02.28 |
---|---|
간편식 시장의 성장이 그냥 즐거운 일만은 아니다? (0) | 2017.02.23 |
4차 산업혁명 어디까지 왔나? (0) | 2017.02.14 |
2017년 사물인터넷 시장에 대한 전망을 어떻게 보고 있나? (0) | 2017.02.10 |
제프 이멜트 회장의 GE 성장 프로세스 핵심요소 6가지 (1) | 2017.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