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estion(?)
다름에 대한 거부감과 두려움 아닐까?
공한 K
2017. 1. 4. 18:28
직원이 협업 툴 쓰기를 꺼리는 3가지 이유
직장인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업무 프로세스에 익숙함 때문에 다르고 새로운 프로세스를 받아드리는 것에 거부감 혹은 두려움을 갖는 듯 하다.
구글 드라이브와 캘린더 등을 통한 업무 공유와 조율 조차 힘들어 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그것도 하나의 새로운 일로 생각하는 것으로 보였다.
또 자체 부서간 업무 협업 프로그램을 만들어 진행해 보았으나 그것이 프로그램 자체의 활용의 불편함은 있었으나 그 프로그램에 대한 명확한 사용 설명이 부족했던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그리고 그것을 활용해야 할 사람들이 받아드리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위에서 말한 것과 동일한 이유로 보여졌다.
협업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성과 업무 효과에 있어 그 필요성은 현업에서 느꼈다 바이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으로 신속하고 빠른 업무 협업을 통해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진행하고자 노력했던 경험이 있었다.
앞으로 좀 더 협업 툴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업무의 성격과 업종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툴이 제공되고 되어야 할 것이지만 임직원들이 포함된 조직의 문화도 감안하여 도입해야 할 것이라 본다.
직장인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업무 프로세스에 익숙함 때문에 다르고 새로운 프로세스를 받아드리는 것에 거부감 혹은 두려움을 갖는 듯 하다.
구글 드라이브와 캘린더 등을 통한 업무 공유와 조율 조차 힘들어 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그것도 하나의 새로운 일로 생각하는 것으로 보였다.
또 자체 부서간 업무 협업 프로그램을 만들어 진행해 보았으나 그것이 프로그램 자체의 활용의 불편함은 있었으나 그 프로그램에 대한 명확한 사용 설명이 부족했던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그리고 그것을 활용해야 할 사람들이 받아드리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위에서 말한 것과 동일한 이유로 보여졌다.
협업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성과 업무 효과에 있어 그 필요성은 현업에서 느꼈다 바이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으로 신속하고 빠른 업무 협업을 통해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진행하고자 노력했던 경험이 있었다.
앞으로 좀 더 협업 툴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업무의 성격과 업종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툴이 제공되고 되어야 할 것이지만 임직원들이 포함된 조직의 문화도 감안하여 도입해야 할 것이라 본다.